페소아의 초상화 (João Luiz Roth 作)

전에 약간 언급한 적 있었던 포르투갈의 시인이자 작가인 페르난두 페소아의 영문 산문집 몇 권을 손에 넣었다. 그는 1888년에 포르투갈의 리스본에서 태어났지만, 5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 새로 부임한 영사와 결혼하면서 7살 때부터 17살 때까지 더반에서 학교를 다녔다. 당시 더반은 영국의 식민지였던 남아공 나탈 주의 신흥도시였기 때문에 정규교육은 영어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수줍음 많던 외국인 학생은 영작문에서만큼은 그의 동급생들을 월등히 앞질렀다. 그렇지만 1920년 다시 한 번 미망인이 된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그와는 아버지가 다른 세 명의 형제자매들과 함께 리스본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이 때 익혔던 영어 덕분에, 그는 리스본에서 다니던 대학을 자퇴한 뒤에도, 해외무역을 하는 포르투갈 회사들을 위한 영어 편지를 작성해주거나 번역을 해주면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리스본에 돌아온 이후에도 그는 한동안 영어로 글을 썼고, 영문 작품을 통해 문학계에 입문하고 싶은 희망도 품고 있었다. 그러나 다시 포르투갈에서 살게 되면서 그는 거의 문학을 통해서만 영어를 접하게 되었고, 그러다보니 그의 영어 문체는 아무래도 당대의 영어보다는 좀더 문어적이면서 고어투에 가까웠다고 한다. 물론 그것이 그의 영어의 한계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당대의 어떤 영어권 작가도 구사할 수 없는 독특한 영문학의 세계를 보여주기도 했다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그는 영어뿐 아니라, 그의 모국어인 포르투갈어로도 작품을 남겼고, 일부 불어로 남긴 작품들도 전해진다. 그렇지만 다수의 그의 작품들은 그가 죽은 뒤에야 발견된 트렁크 속에 담겨 있던 유작들어서, 어떤 의미에서 그의 작품세계는 그의 죽음 이후에 비로소 열린 셈이었다. 그 트렁크 속에는 29권의 공책뿐 아니라, 미발표 시들, 미완의 희곡과 단편 소설들, 번역들, 언어학적 분석들, 그리고 연금술과 신비주의에서부터 미국의 백만장자들, 로마의 황제부터 마하트마 간디 등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 관한 온갖 논픽션 작품들의 원고뭉치가 들어있었다고 한다.

페소아는 작품들을 여러 언어로 썼다는 점 외에도, 많은 가명을 사용했다는 점에서도 독특하다. 그가 매 작품을 위해 사용한 가명들을 단지 그 이름만 가짜가 아니라, 관점, 문체뿐 아니라 성장환경과 성격, 외모 등 모든 측면에서 '페르난두 페소아'와는 완전히 다른, 각각의 가짜 인물들이라고 보았다. 그의 가명들은, 그가 만들어낸 다른 인물들을 위한 이름들이었고, 그런 의미에서 그는 그것을 이명(異名, heteronym)이라고 지칭했다.

내가 가장 먼저 접했던 그의 작품의 한 '쪼가리'는 <동요의 서(The Book of Disquiet)>라는 것이었지만, 그 책은 아직 배달이 되지 않았고, 내가 먼저 손에 넣은 것은  <금욕주의자의 교육(The Education of the Stoic)>이라는 산문이다.  그런데 이 두 작품은 각각 베르나르두 소아레즈(Bernardo Soares)와 테이브의 남작이라는 두 사람의 가명의 인물들에 의해 쓰여졌는데, 페소아는 이 두 인물과 이 작품을 일종의 거울상, 서로 마주보는 대립항으로서 창조했다고 한다. 그리고 인간으로서뿐만 아니라, 창조자로서의 자신의 한계에 직면한 이의 작품이란 의미에서, 전자는 절망의 서(書)라면, 후자는 자살의 서(書)라고 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이 작품의 원문이 영어였다면 번역의 의미가 더 충실하겠지만, 어쨌든 포르투갈어를 영어로 번역한 번역본을 바탕으로 페소아의 <금욕주의자의 교육(The Education of the Stoic)>을 당분간 번역해서 올릴 예정이다. 내가 저본으로 삼은 영문 번역본은 Richard Zenith가 번역한The Education of the Stoic (Exact Change, 2005)이다. 전체가 81페이지밖에 안 되는 짧은 분량인 데다, 그것마저도 일관된 빽빽한 서사가 아닌 파편 같은 메모처럼 적혀 있어서, 큰 부담은 없을 것 같지만 매일 일정한 분량을 꾸준히 올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그리고 참고로 이 작품은페소아가 테이브 남작이라는 가명으로 쓴 유일한 원고이다.


  1. 페소아는 작품 제목과 두 개의 부제를 적은 페이지에 이 발견의 경위까지 함께 기록했다. 이는 테이브 남작이 기존의 작품을 벽난로에 모두 불태운 뒤에 남긴 최후의, 그리고 유일한 원고다. [본문으로]
  2. 1625년에 작성된 그의 유서에서 프랜시스 베이컨은 다음과 같이 썼다. "나의 이름과 기억을 위해 나는 이 인류의 자비로운 말들에, 낯선 나라들, 그리고 다음 시대에 남긴다." [본문으로]
  3. 1864년 포르투갈의 리스본에서 창간된 신문. 페소아 생전이나 지금이나, 포르투갈 최대 일간지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본문으로]
  4. whist: 카드 게임의 일종. (역자주) [본문으로]
Translated by 金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