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소아의 초상화 (João Luiz Roth 作)

전에 약간 언급한 적 있었던 포르투갈의 시인이자 작가인 페르난두 페소아의 영문 산문집 몇 권을 손에 넣었다. 그는 1888년에 포르투갈의 리스본에서 태어났지만, 5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 새로 부임한 영사와 결혼하면서 7살 때부터 17살 때까지 더반에서 학교를 다녔다. 당시 더반은 영국의 식민지였던 남아공 나탈 주의 신흥도시였기 때문에 정규교육은 영어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수줍음 많던 외국인 학생은 영작문에서만큼은 그의 동급생들을 월등히 앞질렀다. 그렇지만 1920년 다시 한 번 미망인이 된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그와는 아버지가 다른 세 명의 형제자매들과 함께 리스본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이 때 익혔던 영어 덕분에, 그는 리스본에서 다니던 대학을 자퇴한 뒤에도, 해외무역을 하는 포르투갈 회사들을 위한 영어 편지를 작성해주거나 번역을 해주면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리스본에 돌아온 이후에도 그는 한동안 영어로 글을 썼고, 영문 작품을 통해 문학계에 입문하고 싶은 희망도 품고 있었다. 그러나 다시 포르투갈에서 살게 되면서 그는 거의 문학을 통해서만 영어를 접하게 되었고, 그러다보니 그의 영어 문체는 아무래도 당대의 영어보다는 좀더 문어적이면서 고어투에 가까웠다고 한다. 물론 그것이 그의 영어의 한계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당대의 어떤 영어권 작가도 구사할 수 없는 독특한 영문학의 세계를 보여주기도 했다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그는 영어뿐 아니라, 그의 모국어인 포르투갈어로도 작품을 남겼고, 일부 불어로 남긴 작품들도 전해진다. 그렇지만 다수의 그의 작품들은 그가 죽은 뒤에야 발견된 트렁크 속에 담겨 있던 유작들어서, 어떤 의미에서 그의 작품세계는 그의 죽음 이후에 비로소 열린 셈이었다. 그 트렁크 속에는 29권의 공책뿐 아니라, 미발표 시들, 미완의 희곡과 단편 소설들, 번역들, 언어학적 분석들, 그리고 연금술과 신비주의에서부터 미국의 백만장자들, 로마의 황제부터 마하트마 간디 등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 관한 온갖 논픽션 작품들의 원고뭉치가 들어있었다고 한다.

페소아는 작품들을 여러 언어로 썼다는 점 외에도, 많은 가명을 사용했다는 점에서도 독특하다. 그가 매 작품을 위해 사용한 가명들을 단지 그 이름만 가짜가 아니라, 관점, 문체뿐 아니라 성장환경과 성격, 외모 등 모든 측면에서 '페르난두 페소아'와는 완전히 다른, 각각의 가짜 인물들이라고 보았다. 그의 가명들은, 그가 만들어낸 다른 인물들을 위한 이름들이었고, 그런 의미에서 그는 그것을 이명(異名, heteronym)이라고 지칭했다.

내가 가장 먼저 접했던 그의 작품의 한 '쪼가리'는 <동요의 서(The Book of Disquiet)>라는 것이었지만, 그 책은 아직 배달이 되지 않았고, 내가 먼저 손에 넣은 것은  <금욕주의자의 교육(The Education of the Stoic)>이라는 산문이다.  그런데 이 두 작품은 각각 베르나르두 소아레즈(Bernardo Soares)와 테이브의 남작이라는 두 사람의 가명의 인물들에 의해 쓰여졌는데, 페소아는 이 두 인물과 이 작품을 일종의 거울상, 서로 마주보는 대립항으로서 창조했다고 한다. 그리고 인간으로서뿐만 아니라, 창조자로서의 자신의 한계에 직면한 이의 작품이란 의미에서, 전자는 절망의 서(書)라면, 후자는 자살의 서(書)라고 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이 작품의 원문이 영어였다면 번역의 의미가 더 충실하겠지만, 어쨌든 포르투갈어를 영어로 번역한 번역본을 바탕으로 페소아의 <금욕주의자의 교육(The Education of the Stoic)>을 당분간 번역해서 올릴 예정이다. 내가 저본으로 삼은 영문 번역본은 Richard Zenith가 번역한The Education of the Stoic (Exact Change, 2005)이다. 전체가 81페이지밖에 안 되는 짧은 분량인 데다, 그것마저도 일관된 빽빽한 서사가 아닌 파편 같은 메모처럼 적혀 있어서, 큰 부담은 없을 것 같지만 매일 일정한 분량을 꾸준히 올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그리고 참고로 이 작품은페소아가 테이브 남작이라는 가명으로 쓴 유일한 원고이다.


  1. 페소아는 작품 제목과 두 개의 부제를 적은 페이지에 이 발견의 경위까지 함께 기록했다. 이는 테이브 남작이 기존의 작품을 벽난로에 모두 불태운 뒤에 남긴 최후의, 그리고 유일한 원고다. [본문으로]
  2. 1625년에 작성된 그의 유서에서 프랜시스 베이컨은 다음과 같이 썼다. "나의 이름과 기억을 위해 나는 이 인류의 자비로운 말들에, 낯선 나라들, 그리고 다음 시대에 남긴다." [본문으로]
  3. 1864년 포르투갈의 리스본에서 창간된 신문. 페소아 생전이나 지금이나, 포르투갈 최대 일간지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본문으로]
  4. whist: 카드 게임의 일종. (역자주) [본문으로]
Translated by 金숲
:
이 논문은 인터넷에서 돌고 있는 버전이 하나 있긴 한데, 초벌 번역만을 마친 상태인지 용어나 구문이 잘못된 것이 많다. 물론 이 번역도 '완벽'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최대한 새로운 형태의 비폭력 시위나, 민주주의적 실천과 관련해 저자가 소개한 사례들을 풀어서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1. 이 글은 New Left Review 13호, 2002년 1-2월호에 실렸던 논문이다. 원제는 "The New Anarchists"다. [본문으로]
  2. 아나키스트들 가운데서는 아나키즘의 반-분파주의나 개방성을 너무나 진지하게 받아들여, 아나키스트라고 부르는 것 자체를 꺼리는 사람들도 있다. [본문으로]
  3. 1996년 8월 3일 1차 대륙간회의 폐회식 때 부사령관 마르코스가 낭독했다. (『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 [본문으로]
  4. '진절머리 나!'라는 의미의 스페인어. 라틴 아메리카의 몇몇 저항단체에서 구호로 사용하던 것을 사파티스타 민중해방군이 모토로 사용할 만큼 대중들에게 인기가 다. [본문으로]
  5. he three-plank programme of Ya Basta! in Italy, for instance, calls for a universally guaranteed ‘basic income’, global citizenship, guaranteeing free movement of people across borders, and free access to new technology—which in practice would mean extreme limits on patent rights (themselves a very insidious form of protectionism). The noborder network—their slogan: ‘No One is Illegal’—has organized week-long campsites, laboratories for creative resistance, on the Polish–German and Ukrainian borders, in Sicily and at Tarifa in Spain. [본문으로]
  6. This summer’s camp is planned for Strasbourg, home of the Schengen Information System, a search-and-control database with tens of thousands of terminals across Europe, targeting the movements of migrants, activists, anyone they like. [본문으로]
  7. the main achievement of the nation-state in the last century has been the establishment of a uniform grid of heavily policed barriers across the world. [본문으로]
  8. 그 장벽을 허무는 데 일조한 것이 저자 자신의 일생에서 가장 신나는 경험 중 하나였다. [본문으로]
  9. Ya Basta! for example is famous for its tute bianche or white-overalls tactics: [본문으로]
  10. The WOMBLES : 'White Overalls Movement Building Libertarian Effective Struggles'(효과적인 자유주의 투쟁을 위한 하얀 작업복 운동)의 약자. 영국의 반자본주의 운동 단체로 시위 때 헬멧과 산소호흡기를 쓰고 충전재가 들어간 오버올 형태의 하얀 작업복을 입는다. [본문으로]
  11. They had all the best chants: ‘Democracy? Ha Ha Ha!’, ‘The pizza united can never be defeated’, ‘Hey ho, hey ho—ha ha, hee hee!’, as well as meta-chants like ‘Call! Response! Call! Response!’ and—everyone’s favourite—‘Three Word Chant! Three Word Chant!’ [본문으로]
  12. peltast: 고대그리스에서 종종 척후병 역할을 담당했던 경장보병. [본문으로]
  13. hoplite; 고대그리스 도시국가에서 시민군인으로 이루어진 중장보병. [본문으로]
  14. Mayfair: 런던의 하이드 파크 동쪽에 위치한 고급 주택가. [본문으로]
  15. Sale of the Century: 영국, 미국, 호주 등에서 방영되는 TV 게임쇼의 일종. [본문으로]
  16. Guerilla Gardening: 주로 환경운동가들이 정치적 직접행동의 한 형태. 활동가들이 버려진 땅을 무단으로 점거해 곡식이나 식물을 심고 가꾸는 방식의 시위다. [본문으로]
  17. Yippies: 미국의 국제청년당(Youth International Party)의 회원들을 지칭하는 . 1960년대 반전운동과 언론자유운동에서 파생한 반체제적 성격의 급진적인 청년층. 상징정치의 청년층을 대변하며, 연극적이고, 아나키스트적이며 반권위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본문으로]
  18. 이탈리아의 극좌파 운동의 한 분파. 인디언 전사처럼 얼굴에 그림을 그리고, 히피족 복장을 하고 시위에 등장. 즉흥성과 예술, 그 가운데서도 음악을 중시했고, 무엇보다 '함께하기(stare insieme)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문으로]
  19. Yvon LeBot의 인터뷰 '부사령관 마르코스: 사파티스타의 꿈' (Subcomandante Marcos: El Sueño Zapatista,) (1997, 바르셀로나) pp. 214–5; 영문판 빌 와인버그(Bill Weinberg) 번역, '치아스에 바치는 경의(Homage to Chiapas)' (2000, 런던) p. 188. [본문으로]
  20. 생디칼리즘: 공장・사업체 등은 그 속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이 소유하고 경영해야 한다는 주의 [본문으로]
  21. ‘1905-19014년, 대부분 국가의 맑스주의 좌파들은 혁명 운동의 변두리에 있었고, 맑스주의의 핵심(main body)은 사실상, 혁명과 무관한 사회민주주의와 동일시되었다. 반면 혁명적 좌파의 대부분은 아나코 생디칼리스트이거나, 어쨌든 아나코 생디칼리즘의 사상과 분위기에 가까운 것이었지, 전통적 맑스주의는 아니었다. 에릭 홉스봄, 「볼셰비즘과 아나키스트들」, 『혁명가들(Revolutionaries)』 뉴욕 (1973), p.61. [본문으로]
  22. 무미아 아부-자말(Mumia Abu-Jamal)은 1981년 12월 9일에 필라델피아 경찰 다니엘 포크너를 살해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고 사형선고를 받은 인물. 체포되기 전엔 혁명적인 흑인 좌파조직이었던 블랙 파트너 파티의 회원이면서 활동가, 저널리스트, 라디오 진행자, 뉴스 평론가, 방송인 겸 택시운전사였다. 그의 판결과 관련해서는 체포에서부터 유죄여부, 재판과정, 사형선고에 이르기까지 모든 점들이 국제적 논란거리가 되면서 하나의 문화 아이콘 자리잡았다. [본문으로]
  23. 북동부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 연맹처럼, 1926년 네스토 마흐노(Nestor Makhno)가 정초한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 선언(the Platform of the Anarchist Communists)을 수락해야만 회원이 될 수 있는, 이를테면 대문자-A 아나키스트 집단도 물론 여전히 존재한다. 그렇지만 바로 지금 역사적 역동성의 중심엔 소문자-a 아나키스트들이 있다. [본문으로]
  24. Their ideology, then, is immanent in the anti-authoritarian principles that underlie their practice, and one of their more explicit principles is that things should stay this way. [본문으로]
Translated by 金숲
: